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이클립스 프로젝트 톰캣 연동 하기
    이클립스 STS 2017. 11. 27. 12:10
    반응형


    이클립스 프로젝트 톰캣 연동하기


    내가 설치한 버전 (별 상관은 없다) 

    tomcat 6.0

    java 1.6



    1. 톰캠 설치형 파일 (확장자 .exe) 을 설치한다 



    2. I Agree 선택



    3. 톰캣 계정 및 포트를 설정하는 곳인데 그냥 디폴트값으로 Next한다. 



    4. 설치된 자바 경로를 잡아준다. 나는 자바버전이 1.6이기때문에 jre6 이다. Next



    5. 톰캣이 설치될 경로를 설정한다.


    6. 설치가 끝나고 이클립스로 들어와서 상단메뉴 Window > Preferences 메뉴로 들어간 뒤 

    Server 탭 > Runtime Environments 클릭 [Add] 클릭



    7. 설치한 톰캣 버전을 선택 후 Next.


    8. 설치한 톰캣경로를 잡아주고 Finish



    9. 이클립스 하단에 Servers탭을 누르고 Click this link to create a new server..   클릭


    10. 연동할 프로젝트를 Add> 를 눌러 오른쪽으로 옮긴 뒤 [Finish] 버튼을 누른다.



    11. 하단 Tomcat v6.0 Server 아이콘을 클릭 후 Overview탭에서 각종 설정 프로퍼티가 나온다. 

    나는 호스트명을 localhost 대신 local.dev.co.kr 이란 호스트명을 썼다. 포트도 기본 8080에서 80으로 변경했다.

    그냥 기본 localhost를 사용하려면 안건들여도 된다.



    12. Modules 탭을 누르고 DocBase를 설정하는 메뉴다.

    Path에 기본으로 /dev_mg-v1.0 지정되있는데 /만 남기고 다 지운다.

    이것을 안지우면 RequestMapping("/user/List.do")

    이 주소를 /dev_mg-v1.0/user/List.do로 쳐야한다.






    13. 이미지엔 안보이지만 이클립스 맨 왼쪽 프로젝트 익스플로러 맨 밑에 Servers 폴더가 있다.

    Host설정은 앞서 톰캣탭에서 하였기때문에 이곳은 Context 및 Resource만 설정하면 된다. 

    Servers > 설치된 톰캣버전 폴더 클릭 > server.xml 누르면 

    맨밑에 내 프로젝트명으로 Context 설정이 잡혀있는데 

    Resource 경로를 설정하여 jndi 데이터베이스 설정을 할 수도 있다.


    14. 초기설정이 다 끝나면 Servers 탭에서 톰캣을 Start 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